시인, 가을, 공원, 벤취 하면
떠오르는 사람을 꼽으라면 아마도 세월이 가면,
목마와 숙녀의 박인환을 지목하기 주저함이 없을 것이다
화창한 오후 낙엽이 떨어진 길을 걷는다든지,
한적한 공원 벤취에 앉아 그리운 누군가를
생각하고 있다든지 또는,
늦은밤 창가에 서서
가로등 불빛을 바라본다든지 하면
박인환을 떠올리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31세의 젊은 나이에 요절한 시인 박인환,
불운한 시절에 짧은 생을 살다 간 그이지만
문학에 대한 열정만은 그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는 가을의 시인이다.
1956년 이른 봄. 전란으로 폐허가 되었다가
어느 정도 복구되어 제 모습을 찾아가는 명동 한 모퉁이에
자리잡고 있는 '경상도집'에 몇 명의 문인들이 모여 술을 마시고 있었다.
마침 그 자리에는 가수 나애심도 함께 있었는데, 몇 차례 술잔이 돌고
취기가 오르자 일행들은 나애심에게 노래를 청했다.
"애심아, 노래 한곡 듣자!"
그러나 나애심은 노래를 하지 않았다.
박인환이 호주머니에서 종이를 꺼내더니
즉석에서 시를 써내려갔다.
그것을 넘겨다보고 있던 이진섭이
박인환의 즉석 시를 받아 단숨에 악보를 그려갔다.
그 악보를 나애심에게 건네자 악보를 보고 나애심이 노래을 불렀다
그 노래가 바로 '세월이 가면'이다.
세월이 가면 - 박인환 詩
지금 그 사람 이름은 잊었지만
그 눈동자 입술은
내 가슴에 있네.
바람이 불고
비가 올 때도
나는
저 유리창 밖 가로등
그늘의 밤을 잊지 못하지.
사랑은 가고 옛날은 남는 것
여름날의 호숫가 가을의 공원
그 벤취 위에
나뭇잎은 떨어지고
나뭇잎은 흙이 되고
나뭇잎에 덮여서
우리들 사랑이
사라진다 해도
내 서늘한 가슴에 있네.
*****************************************
모더니즘의 깃발을 높이 들고 전후 폐허의 공간을 술과 낭만으로 누비던 박인환(1926∼1956)의 「세월이 가면」은 전쟁으로 가족을 잃고,연인을 잃고,혹은 살아 있는 사람과 이별했던 많은 사람들의 가슴을 적신 화제작이었다. 을지로 입구 외환은행 본점 건물을 왼쪽으로 끼고 명동성당쪽으로 비스듬히 뻗어 간 명동길을 걷다보면 세월의 이끼가 낡고 앙상하게 묻어나는 3층 건물이 나타난다. 이 건물의 2층에는 놀랍게도 딜레탕트 박인환의 흔적을 기억이라도 하듯 「세월이 가면」이라는 간판을 내건 카페가 들어서 있다. 바로 이곳이 전후 명동에서 문인들의 사랑방 노릇을 하던 「명동싸롱」이었다. 박인환은 이곳에서 문우들과 어울리다가 계단을 내려와 죽음이 휩쓸고 간 세월의 쓸쓸함을술로 달래기 위해 맞은편 대폿집(은성: 당시 새로 생긴 술집이었다.)으로 향했다. 동석했던 가수이자 배우인 나애심에게 노래를 청하자 끝내 빼는 바람에 역시 같은 자리에 있었던 박인환의 친구 이진섭이 제안을 했다. 인환이 니가 시를 쓰면 내가 곡을 붙이겠다고. 그리고 시가 나오자 이진섭은 즉석에서 샹송풍의 곡을 붙여 흥얼겨렸다. 이렇게 「세월이 가면」은 명동의 허름한 대폿집에서 누구나의 가슴 속에있지만 미처 명확한 단어로 규명하지 못한 "그 눈동자와 입술" 을 발굴해냈다 이 시에 대하여 강계순은 평전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아! 박인환, 문학예술사, 1983. pp. 168-171) 1956년 이른 봄 저녁 경상도집에 모여 앉은 박인환, 이진섭, 송지영, 영화배우 나애심이 술을 마시고 있었다. 술이 몇 차례 돌아가자 그들은 나애심에게 노래를 부르라고 졸랐지만 그녀는 좀체 부르지 않았다. 그 때 갑자기 박인환이 즉석에서 시를 쓰기 시작햇다. 그 시를 넘겨다 보고 있던 이진섭도 그 즉석에서 작곡을 하고 나애심은 흥얼 흥얼 콧노래로 그 곡을 부르기 시작했다. 이렇게, 깨어진 유리창과 목로주점과도 같은 초라한 술집에서 즉흥적으로 탄생한 것이 오늘까지 너무나도 유명하게 불려지고 있는 「세월이 가면」이다. 한 두 시간 후 나애심과 송지영은 돌아가고 임만섭, 이봉구 등이 합석을 했다. 테너 임만섭이 그 우렁찬 성량과 미성으로 이 노래를 정식으로 다듬어서 불러, 길 가는 행인들이 모두 이 술집 문 앞으로 모여드는 기상천외의 리사이틀이 열렸다. 마른 명태를 앞에다 놓고 대포잔을 기울이면서 아름다운 시를 쓰고 작곡을 하고 노래를 부 르는 사람들, 그리고 그들을 지켜보며 박수를 보내는 많은 행인들―. 그것은 마치 낭만적인 영화의 한 장면 같기도 했다. 박인환의 「세월이 가면」은 순식간에 명동에 퍼졌다. 그들은 이 노래를 명동 엘리지라고 불렀고 마치 명동의 골목마다 스며 있는 외로움과 회상을 상징하는 듯 이곳 저곳에서 이 노래는 불리어졌다. 이 「세월이 가면」에는 전혀 알려지지 않은 애절한 이야기가 담겨져 있다. 이 시를 쓰기 전날 박인환은 십년이 넘도록 방치해 두었던 그의 첫사랑의 애인이 묻혀 있는 망우리 묘지에 다녀왔다... 그는 인생을 정리하고 있었던 것 같다. 사랑도, 시도, 생활도.. 차근 차근 정리하면서 그의 가슴에 남아 있는 먼 애인의 눈동자와 입술이 나뭇잎에 덮여서 흙이 된 그의 사랑을 마지막으로 돌아보았다... 순결한 꿈으로 부풀었던 그의 청년기에 아름다운 무지개처럼 떠서 영원히 가슴에 남아있는 것, 어떤 고통으로도 퇴색되지 않고 있던 젊은 날의 추억은 그가 막 세상을 하직하려고 했을 때 다시 한번 그 아름다운 빛깔로 그의 가슴을 채웠으리라. 그는 마지막으로, 영원히 마지막이 될 길을 가면서 이미 오래 전에 그의 곁에서 떠나간 연인의 무덤에 작별을 고하고 은밀히 얘기하고 싶었다
'음악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 최초의 음악영화 - 길은 멀어도 (0) | 2010.12.02 |
---|---|
마부 (馬夫) (0) | 2010.12.02 |
청춘 드라마 "고교생 일기" (0) | 2010.11.04 |
아름다운사람아_아름다운노래를_72년 (0) | 2010.09.16 |
김정호와의 마지막 인터뷰[2]'내 영혼의 산소를 노래속에 불사르고' (0) | 2010.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