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의모든음악

Kingston Trio - Tom Dooley

 

Kingston Trio Miscellaneous Tom Dooley

(Spoken)
Throughout history, there've been many songs written about the eternal
triangle.
The next one tells a story of a Mister Grayson,
a beautiful woman, and a condemned man named Tom Dooley.
When the sun rises tomorrow, Tom Dooley must hang.

Hang down your head Tom Dooley, hang down your head and cry,
hang down your head Tom Dooley, poor boy, you're bound to die!

I met her on the mountain, there I took her life.
Met her on the mountain, stabbed her with my knife.

Hang down your head Tom Dooley, hang down your head and cry,
hang down your head Tom Dooley, poor boy, you're bound to die!

This time tomorrow, Reckon where I'll be,
hadn't I been for Grayson, I'd been in Tennessee.

Hang down your head Tom Dooley, hang down your head and cry,
poor boy, oh well-a-
hang down your head Tom Dooley, poor boy, you're bound to die!
Oh, well, now, boy.
Hang down your head Tom Dooley, hang down your head and cry,
poor boy, oh well-a-
hang down your head Tom Dooley, poor boy, you're bound to die!

This time tomorrow, Reckon where I'll be,
down in some lonesome valley, hangin' from a white oak tree.

Hang down your head Tom Dooley, hang down your head and cry,
hang down your head Tom Dooley, poor boy, you're bound to die!
Oh, well, now, boy
Hang down your head and cry, hang down your head and cry.
Hang down your head and cry, poor boy, you're bound to die!
Poor boy, you're bound to die.
Poor boy, you're bound to die.
Poor boy, you're bound to die!

(There are two versions of this traditional sung by The Kingston Trio.
In the second version the vocals of the 3rd and 4th chorus have been
swapped. Also the lead vocal seems to sound somewhat older than in the
first version :-).

 

교수형 이라네 탐둘리 목을 조이면 울겠지

가엾은 저 사나이여 저세상으로 가는구나

나는산에서 그녀를 만났지

거기서 그녀의 목숨을 빼았었다네

내칼로 그녀를 찔렀네

내일의 지금쯤 나는 어디에 있을까

용케도 빠져나가 먼 테네시로 가 있을까

쓸쓸한 골짜기의 흰떡갈나무에

대롱대롱 목이 매달릴까

 

 

미국의 고전 민요 포크송으로 1958년 킹스턴 트리오의 레코드가 전미 1위곡으로 대히트하여

밀리언 셀라를 기록 되면서 대중적인 음악으로 자리하게 된다.

이덕에 킹스턴도 순식간에 스타로 떠오르게 되었다.

 

학생들을 중심으로 한 모던 포크송 운동의 막을 올린것이다.

락앤롤의 강렬한 육체성의 자극외에 젊은이들은 사회적 비판이나 풍자 등 사상성 있는 노래도

원 하고 있었던 것이고 모던 포크가 그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것은 당연하다고 할수있다.

 

킹스턴 트리오에게 영향을 준 위버스,벌 아이브스,우디거슬리,해리 벨라폰테 등

포크 가수의 존재가 컸다.

흑인인 해리 벨라폰테는 1956년 '자마이카여 안녕' 1957년 '바나나보트 데이오' 를 크게 히트시켜

칼립소붐을 일으켰고 풍자성이 있는 칼립소는 본고장인 서인도 제도의 트리니다드 토바코나 자메이카

이고 킹스턴 트리오의 이름은 자메이카의 수도 킹스턴에서 따온 것이다...

 

노래의 주인공 탐둘리(실제는 탐 C 듈라)는 노스 캐롤라이나의 젊은 피들러 인데 남북전쟁때

출정한 동안에 연인의 마음이 변한것을 알고 격분 그녀를 죽이고 연적인 그레이슨에게 붙잡혀

교수형을 받았다 는 내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