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re: Basque Folk
01. Goizian argi hastian (Etxahun)
02. Ostiraletan duzu (Herrikoia)
03. Amodioa zoin den zoroa (Herrikoia)
04. Amak ezkondu ninduen (Herrikoia)
05. Intxauspeko alaba (Herrikoia)
06. Ama Ama ezkondu, ezkondu (Herrikoia)
07. Eperrak badititzu (Herrikoia)
08. Txiki txikitik aitak (Herrikoia)
09. Behin batean Loiolan (Bilintx)
10. Basoilarrak (Herrikoia)
11. Uso xuria errazu (Herrikoia)
12. Adios izar ederra (Herrikoia)
13. Brodatzen ari nintzen
Txomin Artola
바스크 전통음악의 충실한 계승자로 꼽히는 초민 아르톨라는
1948년 바스크 기푸스코아주의 혼다리비에서 태어났다.
1975년 데뷔작을 발표한 이래, 바스크의 음악계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의
한 사람으로서 그가 이룬 음악적인 '업적'이라면 바스크 전통음악에 대한
꾸준한 탐구를 통해 하나의 정형적인 체계를 세웠다는 점이다.
즉 현대 바스크 포크 음악의 주된 스타일을 확립했다는 점에서 그는 높이
평가되고 있는 것이다. 그의 여러 앨범들에 담긴 전통 민요와 전통적인
방법론에 입각해 쓰인 곡들은 어느 누구보다도 짙은 바스크만의 색채를
담고 있다. 서정적이거나 흥겨운 선율에 실려 흐르는 깊은 슬픔의 정서는
아마도 우리의 그것과도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다는 생각이 든다.
보르다리, 월트 휘트먼, 고촌 알레만 등 유명 시인들의 노랫말로 한
탁월한 곡들 역시 초민 아르톨라의 명성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그는 1970년대 말에 실험적인 포크 그룹 하이세아(Haizea)에 몸담고 활동을
하기도 했는데, 밴드 해체 후 활발한 솔로 활동을 해온 그는 1991년부터
1993년까지 밴드 시절의 동료인 여성 싱어 아마이아 수비리아와 함께
자신의 음악세계를 집대성한 3장의 바스크 전통 포크 음악 시리즈
[Folk-Lore-Sorta] 시리즈를 발표하여 높은 평가를 받았다.
Amaia Zubiria
아마이아 수비리아는 1947년 기푸스코아주 산세바스틱안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어린 시절부터 음악적인 환경 속에서 자라나며 바스크의 전통음악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왔다. 그녀의 본격적인 음악 활동은 1970년대 중반
포크 그룹 하이세아와 함께 시작되었다. 이후 80년대부터 지금까지 바스크를
대표하는 탁월한 여성 싱어로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하이세아 이후
그녀의 경력에서 가장 주목할만한 부분은 파스칼 가이네와 초민 아르톨라
등과 같은 바스크 음악계의 거장 뮤지션들과의 작업이라 할 수 있다.
프랑스 출신으로 바스크에서 활동하며 뛰어난 음악적 재능을 선보였던
작곡가 파스칼 가이네와의 여러 작업들은 그녀의 위상을 높이는 데
가장 큰 역할을 했으며, 이후 초민 아르톨라와 함께 한 [Folk-Lore-Sorta]
시리즈를 통해 바스크의 전통음악을 새롭게 재조명함으로써 최고의 평가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일련의 탁월한 작업들과 숱한 라이브 활동을 통해
풍부한 감수성을 표출하며 바스크 최고의 가수로 자리한 그녀는 90년대
중반 이후 여러 앨범을 발표하며 보다 원숙한 면모를 보여왔다.
그리고 2002년에 발표된 앨범 [Haatik(하틱:그렇지만)]으로 바스크 지역은
물론 유럽의 여러나라에서 호평을 받으며 그 명성을 이어오고 있다.
'세상의모든음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ep River / Marian Anderson (0) | 2011.01.23 |
---|---|
De colores (빛과 함께) (0) | 2011.01.23 |
Freckle Faced Soldier(돌아오지 않는 소년병)| (0) | 2011.01.23 |
Some day - John Legend (0) | 2011.01.17 |
It`s Time To Forget (잊게 해 주세요) / Claude Choe (0) | 2011.01.10 |